백엔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올바른 인증 방법 선택하기
Daniel Hayes
Full-Stack Engineer · Leapcell

소개
백엔드 개발의 복잡한 세계에서 리소스에 대한 안전하고 통제된 액세스를 보장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애플리케이션이 복잡해지고 점점 더 많은 서비스와 통합됨에 따라 강력한 인증 메커니즘의 필요성이 중심적인 관심사가 됩니다. 올바른 인증 전략을 선택하는 것은 단순히 무단 액세스를 방지하는 것 이상입니다. 개발자 경험을 최적화하고, 보안 태세를 강화하며, 확장 가능한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입니다. 이 글은 세 가지 기본 인증 방식인 API 키, OAuth 2.0, OpenID Connect를 자세히 살펴보고, 각 방식의 핵심 원리, 실제 구현을 분석하며, 다양한 백엔드 시나리오에 대한 의사 결정 과정을 안내합니다. 이러한 미묘한 차이를 이해하면 가장 적합한 솔루션을 자신 있게 선택할 수 있어 애플리케이션 보안을 강화하고 개발 노력을 간소화할 수 있습니다.
핵심 개념 설명
각 인증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기 전에, 논의할 핵심 개념에 대한 공통된 이해를 확립해 봅시다.
인증 (Authentication): 사용자 또는 시스템의 신원을 확인하는 프로세스입니다. "당신은 누구라고 주장하는 사람인가요?"라는 질문에 답합니다.
인가 (Authorization): 인증된 사용자 또는 시스템이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을 결정하는 프로세스입니다. "무엇을 할 수 있도록 허용되었나요?"라는 질문에 답합니다.
클라이언트 (Client): 보호된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를 요청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입니다. 모바일 앱, 웹 애플리케이션, 다른 백엔드 서비스 등이 될 수 있습니다.
리소스 서버 (Resource Server): 보호된 리소스를 호스팅하고 클라이언트 요청에 응답하는 서버입니다.
ID 제공자 (Identity Provider, IdP): 주체에 대한 ID 정보를 생성, 유지, 관리하고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토큰 (Token): 인증 및/또는 인가를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조각(종종 문자열)입니다.
이제 각 인증 방식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API 키
원리: API 키는 호출하는 프로그램, 개발자 또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서비스에서 종종 생성하는 고유한 문자열입니다. API에 대한 액세스를 부여할 때 요청과 함께 제시되는 간단한 비밀 토큰(비밀번호와 같은)입니다. API 키는 주로 개별 사용자보다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인가는 일반적으로 키 자체에 연결되어 키 소유자가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을 정의합니다.
구현: API 키는 일반적으로 요청 헤더(예: X-API-Key: your_api_key_value), 쿼리 매개변수 또는 때로는 요청 본문에 포함됩니다.
**예시 (Node.js/Express):
실행 콘솔에 'Hello, World!'를 출력하는 간단한 프로그램입니다.
// server.js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ess(); const port = 3000; //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이러한 키는 안전하게 저장되어야 합니다 (예: 데이터베이스, 환경 변수). const VALID_API_KEYS = ['your_secret_api_key_123', 'another_key_456']; // API 키 인증 미들웨어 function authenticateApiKey(req, res, next) { const apiKey = req.headers['x-api-key']; // 또는 req.query.api_key if (!apiKey) { return res.status(401).json({ message: 'API Key가 누락되었습니다.' }); } if (!VALID_API_KEYS.includes(apiKey)) { return res.status(403).json({ message: '잘못된 API Key입니다.' }); } // 선택 사항: 키/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를 요청 객체에 첨부할 수 있습니다. req.apiKey = apiKey; next(); } app.use(express.json()); // 보호된 라우트에 API 키 인증 적용 app.get('/protected-data', authenticateApiKey, (req, res) => { // 실제 시나리오에서는 req.apiKey를 사용하여 사용량을 추적할 수 있습니다. res.json({ message: '유효한 API 키로 액세스할 수 있는 보호된 데이터입니다.', accessedBy: req.apiKey }); }); app.get('/public-data', (req, res) => { res.json({ message: 'API 키가 필요 없는 공개 데이터입니다.' }); }); app.listen(port, () => { console.log(`Server listening at http://localhost:${port}`); });
테스트:
curl -H "X-API-Key: your_secret_api_key_123" http://localhost:3000/protected-data
curl http://localhost:3000/public-data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
- 기계 간 통신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서버가 다른 서버의 API에 액세스해야 하지만 최종 사용자 참여가 없는 경우 (예: 타사 서비스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예약된 작업).
- 간단한 속도 제한 및 사용량 추적: API 키를 사용하여 모니터링 및 청구를 위한 트래픽 소스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 최소 인가 요구 사항이 있는 공개 API: 요청 소스를 식별하는 것만이 목표인 API의 경우, 세분화된 사용자 권한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장점: 단순성, 구현 용이성, 낮은 오버헤드. 단점: 키가 하드코딩되거나 노출된 경우 토큰 기반 접근 방식보다 덜 안전합니다. 최종 사용자 인증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키 무효화가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범위 협상과 같은 고급 기능이 부족합니다.
OAuth 2.0
원리: OAuth 2.0은 애플리케이션(클라이언트)이 리소스 소유자(사용자)를 대신하여 HTTP 서비스(리소스 서버)에 대한 제한된 액세스 권한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인가 프레임워크입니다. 사용자 계정을 호스팅하는 서비스(인가 서버)에 사용자 인증을 위임하고, 사용자 자격 증명을 공유하지 않고도 타사 애플리케이션이 특정 사용자 리소스에 액세스하도록 허가합니다. 핵심 아이디어는 리소스 소유자가 권한을 부여한 후 클라이언트에 액세스 토큰(일반적으로 수명이 짧고 불투명함)을 발급하여 클라이언트가 보호된 리소스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구현: OAuth 2.0은 다양한 클라이언트 유형과 사용 사례(예: 웹 애플리케이션의 Authorization Code 흐름, 기계 간 통신을 위한 Client Credentials 흐름, 단일 페이지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Implicit 흐름-PKCE를 사용한 Authorization Code에 선호됨)를 처리하기 위해 다양한 "흐름"(인증 타입)을 정의합니다. Authorization Code 흐름이 가장 일반적이고 안전합니다.
주요 구성 요소:
- 리소스 소유자 (Resource Owner): 데이터의 소유자인 사용자.
- 클라이언트 (Client): 액세스를 요청하는 애플리케이션.
- 인가 서버 (Authorization Server): 리소스 소유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클라이언트에 액세스 토큰을 발급합니다.
- 리소스 서버 (Resource Server): 보호된 리소스를 호스팅하고 액세스 토큰을 수락합니다.
예시 (단순화된 Authorization Code 흐름)
전체 OAuth 2.0 인가 서버 및 클라이언트 설정은 방대하므로 개념적인 예시입니다.
-
클라이언트가 인가 요청:
GET https://authorization-server.com/authorize?response_type=code&client_id=your_client_id&redirect_uri=https://your-app.com/callback&scope=read_profile%20write_data&state=random_string사용자가 인가 서버로 리디렉션되어 로그인하고 요청을 승인합니다. -
인가 서버가 인가 코드를 가지고 클라이언트로 리디렉션:
GET https://your-app.com/callback?code=AUTH_CODE_FROM_SERVER&state=random_string -
클라이언트가 인가 코드를 액세스 토큰으로 교환 (서버 측):
// 백엔드에서 (예: Node.js/Express) app.get('/callback', async (req, res) => { const authCode = req.query.code; const state = req.query.state; // CSRF 보호를 위해 state 확인 // 실제 앱에서는 'state' 매개변수를 검증해야 합니다! try { const tokenResponse = await fetch('https://authorization-server.com/token', { method: 'POST', headers: { 'Content-Type':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 body: new URLSearchParams({ grant_type: 'authorization_code', client_id: 'your_client_id', client_secret: 'your_client_secret', // 이것은 비밀로 유지하세요! code: authCode, redirect_uri: 'https://your-app.com/callback', }), }); const tokens = await tokenResponse.json(); const accessToken = tokens.access_token; // 클라이언트는 이제 이 accessToken을 사용하여 리소스 서버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 // 사용자에 대해 accessToken을 안전하게 저장합니다 (예: 세션). res.send(`로그인되었습니다! 액세스 토큰: ${accessToken}`); } catch (error) { console.error('코드 교환 오류:', error); res.status(500).send('인증 실패.'); } }); // 리소스 서버의 보호된 리소스에 액세스하려면 async function fetchProtectedResource(accessToken) { const response = await fetch('https://resource-server.com/api/user/profile', { headers: { 'Authorization': `Bearer ${accessToken}` } }); const data = await response.json(); console.log('보호된 데이터:', data); return data; }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
- 위임된 인가: 타사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리소스에 액세스할 수 있어야 하는 경우 (예: 사진 편집 앱이 Google 포토에 액세스).
- 여러 애플리케이션과의 단일 로그온 (SSO): OAuth 2.0 자체는 ID를 제공하지 않지만, OpenID Connect와 결합될 때 SSO의 기반이 됩니다.
- 모바일 및 웹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API 액세스: 대부분의 최신 사용자 대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OAuth 2.0을 사용합니다.
장점: 안전한 인가 위임, 클라이언트와 자격 증명 공유 없음, 다양한 클라이언트 유형 및 흐름 지원, 세분화된 권한을 위한 범위 정의, 장기 세션을 위한 새로 고침 토큰. 단점: API 키보다 구현이 복잡하며, 인가 서버 설정(또는 타사 IdP 사용)이 필요합니다. OAuth 2.0은 인증 프로토콜이 아니라 인가 프레임워크입니다.
OpenID Connect (OIDC)
원리: OpenID Connect는 OAuth 2.0 위에 구축된 인증 계층입니다. OAuth 2.0은 인가(리소스 액세스 권한 부여)에 중점을 두는 반면, OIDC는 인증(사용자 신원 확인)에 중점을 둡니다. 클라이언트가 인가 서버가 수행한 인증을 기반으로 최종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상호 운용 가능한 REST와 유사한 방식으로 최종 사용자에 대한 기본 프로필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합니다. OIDC의 핵심 결과물은 ID 토큰으로, 최종 사용자의 신원에 대한 검증 가능한 클레임을 포함하는 JSON 웹 토큰(JWT)입니다.
구현: OIDC는 기존 OAuth 2.0 흐름(일반적으로 Authorization Code 흐름)을 활용하며, 토큰 요청 중에 특정 범위(예: openid, profile, email) 및 추가 매개변수를 추가합니다. 사용자 인증 후 인가 서버는 액세스 토큰(및 새로 고침 토큰)과 함께 ID 토큰을 반환합니다. 클라이언트는 그런 다음 이 ID 토큰을 검증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합니다.
예시 (OAuth 2.0을 기반으로 OIDC 구성 요소 추가):
흐름의 프론트엔드 부분은 OIDC 범위가 추가된 것을 제외하고 OAuth 2.0과 매우 유사합니다.
-
클라이언트가 OIDC 범위를 사용하여 인가 요청:
GET https://authorization-server.com/authorize?response_type=code&client_id=your_client_id&redirect_uri=https://your-app.com/callback&scope=openid%20profile%20email&state=random_stringopenid는 OIDC에 필수입니다.profile및email은 사용자 프로필 데이터를 요청합니다. -
인가 서버가 코드를 가지고 리디렉션합니다.
-
클라이언트가 인가 코드를 토큰으로 교환 (서버 측): 'token' 엔드포인트 요청은 대체로 동일하지만, 인가 서버의 응답에는
access_token및refresh_token외에id_token도 포함됩니다.// 백엔드에서 (예: Node.js/Express) 코드를 받은 후 app.get('/callback', async (req, res) => { // ... (위의 OAuth 2.0 코드 교환) ... const tokenResponse = await fetch('https://authorization-server.com/token', { /* ... */ }); const tokens = await tokenResponse.json(); const accessToken = tokens.access_token; const idToken = tokens.id_token; // 이것이 OIDC ID 토큰입니다! // 1. ID 토큰 검증 (OIDC의 핵심!) // 실제 앱에서는 라이브러리(예: 'jsonwebtoken', 'jwks-rsa')를 사용합니다. // 서명, 발급자, 대상, 만료, nonce 등을 검증하기 위해. try { const decodedIdToken = verifyIdToken(idToken); // JWT 검증을 위한 사용자 정의 함수 console.log('ID 토큰의 사용자 ID:', decodedIdToken.sub); // 'sub'는 주체 (사용자 ID) console.log('ID 토큰의 사용자 프로필:', decodedIdToken.profile); // 예: 이름, 이메일 // 이제 인증된 사용자의 신원 정보를 얻었습니다. req.user = decodedIdToken; // 사용자 정보를 요청에 첨부 res.send(`인증 성공! ${decodedIdToken.name || decodedIdToken.sub}님, 환영합니다.`); } catch (error) { console.error('ID 토큰 검증 실패:', error); res.status(401).send('인증 실패: 잘못된 ID 토큰입니다.'); } // ... (리소스 액세스를 위해 accessToken 사용) ... }); // ID 토큰 검증을 위한 플레이스홀더 (매우 단순화됨) function verifyIdToken(token) { // 실제로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1. JWT 디코딩 (base64 인코딩된 JSON) // 2. IdP의 공개 키 (JWKS 엔드포인트에서 검색)를 사용하여 서명 검증 // 3. 'iss' (발급자) 클레임 확인 // 4. 'aud' (대상) 클레임이 클라이언트 ID와 일치하는지 확인 // 5. 'exp' (만료) 클레임 확인 // 6. 'iat' (발행 시점) 클레임 확인 // 7. 원래 요청에 제공된 경우 'nonce' 확인 // 데모를 위해, 단순히 디코딩합니다 (검증을 위해 프로덕션에서는 이렇게 하지 마세요). const [header, payload, signature] = token.split('.'); const decodedPayload = JSON.parse(Buffer.from(payload, 'base64').toString('utf8')); console.log('디코딩된 ID 토큰 페이로드:', decodedPayload); return decodedPayload; }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
- 단일 로그온 (SSO): OIDC는 조직 내 또는 소셜 로그인(Google, Facebook 등)을 활용하는 사용자 대면 서비스에서 여러 애플리케이션에 걸쳐 SSO를 구현하는 사실상의 표준입니다.
- 웹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사용자 인증: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가 누구인지 알고 싶을 때, 단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뿐만 아니라.
- 연합 ID: 사용자가 외부 ID 제공자(예: 회사 디렉토리, 소셜 미디어 계정)로 인증하여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하도록 허용합니다.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다양한 마이크로서비스 전반에 걸쳐 통합된 ID 계층을 제공합니다.
장점: 사용자 신원 확인을 위한 표준 방식 제공, 강력한 OAuth 2.0 프레임워크 기반, 검증 가능한 ID 클레임을 위한 JWT 활용, SSO 및 연합 ID에 탁월, 풍부한 프로필 정보. 단점: 계층적 특성과 ID 토큰 검증을 위한 암호화 요구 사항으로 인해 구현 및 이해가 가장 복잡합니다. 강력한 IdP가 필요합니다.
올바른 솔루션 선택하기
"최고의" 솔루션은 전적으로 특정 요구 사항에 따라 달라집니다:
-
API 키: 간단하고 직접적인 리소스 액세스
- 선택 시점: 개별 사용자가 아닌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해야 할 때. 액세스 제어는 거칠게 분류됩니다 (예: 이 키는 X를 수행할 수 있고, 저 키는 Y를 수행할 수 있음). 구현 단순성과 속도가 우선 순위일 때.
- 예시 사용 사례: 최종 사용자 참여가 없는 내부 서버 간 통신, 사용량 추적 및 속도 제한이 주요 관심사인 개발자를 위한 공개 API, 기본 타사 서비스와의 통합.
- 피해야 할 경우: 최종 사용자 인증이 필요할 때, 사용자 역할 기반의 복잡한 인가 로직이 필요할 때, 또는 민감한 사용자 데이터를 처리해야 할 때.
-
OAuth 2.0: 보호된 리소스에 대한 인가 위임
- 선택 시점: 사용자가 타사 애플리케이션에게 다른 서비스에서 자신의 리소스에 대한 제한된 액세스 권한을 부여하면서 자격 증명을 공유하지 않아야 할 때. 사용자를 대신하여 클라이언트가 수행할 수 있는 작업에 대해 세분화된 제어가 필요할 때.
- 예시 사용 사례: 웹 앱에서 사용자 클라우드 저장소에 사진을 업로드해야 할 때, 모바일 앱에서 사용자 소셜 미디어 피드에 액세스해야 할 때, 사용자 컨텍스트를 사용하여 서비스와 상호 작용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API 게이트웨이 제공.
- 피해야 할 경우: 기계 또는 서비스 식별만 필요하고 사용자 상호 작용이 없을 때, 또는 사용자 신원을 인증해야 할 때만 필요할 때 (정확한 요구 사항에 따라 OIDC가 기반이 될 수 있음).
-
OpenID Connect: 사용자 인증 및 신원 확인
- 선택 시점: 최종 사용자를 인증하고 그들의 신원에 대한 검증 가능한 정보(예: 이름, 이메일, 사용자 ID)를 얻어야 할 때. 단일 로그온(SSO) 및 연합 ID가 높은 우선 순위일 때.
- 예시 사용 사례: 웹 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로그인 구현, 기존 엔터프라이즈 ID 시스템 (예: Okta, Azure AD) 통합, 소셜 로그인 (Google/Facebook 로그인) 활성화, 자체 애플리케이션 모음 전반의 SSO 제공.
- 피해야 할 경우: 간단한 기계 간 액세스(API 키)만 필요한 경우, 또는 최종 사용자의 신원을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확립할 필요 없이 리소스에 대한 인가 위임에만 관심이 있는 경우 (정확한 요구 사항에 따라 OAuth 2.0만으로 충분할 수 있음).
결론
적절한 인증 메커니즘을 선택하는 것은 보안, 확장성 및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아키텍처 결정입니다. API 키는 간단한 클라이언트 식별을 위한 간단한 솔루션을 제공하며, OAuth 2.0은 위임된 인가를 위한 강력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포괄적인 사용자 인증 및 신원 확인을 위해 OAuth 2.0을 기반으로 구축된 OpenID Connect는 업계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클라이언트 식별, 사용자 인증 및 리소스 인가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의 요구 사항을 신중하게 평가함으로써, 백엔드 서비스를 가장 잘 보호하고 강화하는 인증 전략을 자신 있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