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애플리케이션 모듈을 위한 세분화된 데이터베이스 역할
Lukas Schneider
DevOps Engineer · Leapcell

소개
현대 웹 애플리케이션의 복잡한 환경에서 보안과 유지 관리는 가장 중요합니다. 사용자 인증, 콘텐츠 관리부터 결제 처리 및 분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능을 담당하는 별개의 모듈을 갖춘 애플리케이션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기본 데이터베이스는 중요한 공유 리소스가 됩니다. 일반적인 함정은 전체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단일하고 과도한 권한을 가진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 "전체 접근" 방식은 편리해 보이지만 상당한 보안 위험을 초래합니다. 단일 모듈이 손상되면 전체 데이터베이스가 취약해집니다. 또한 액세스 관리 및 감사가 악몽이 됩니다. 이 문서는 더 강력하고 안전한 전략을 탐구할 것입니다. 즉, 각 웹 애플리케이션 모듈에 대해 전용 데이터베이스 역할과 권한을 만드는 것입니다. 이 세분화된 접근 방식은 보안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개발을 간소화하고, 감사를 단순화하며, 전반적인 애플리케이션 복원력을 향상시킵니다.
핵심 개념 및 구현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기 전에 이 전략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몇 가지 핵심 데이터베이스 보안 용어를 정의해 보겠습니다.
- 데이터베이스 역할: 데이터베이스 역할은 사용자 또는 다른 역할에 부여될 수 있는 권한 모음입니다. 권한을 위한 명명된 그룹이라고 생각하십시오. 수많은 사용자에게 개별 권한을 부여하는 대신, 역할에 권한을 부여한 다음 사용자에게 역할을 부여합니다. 이렇게 하면 관리가 단순해집니다.
-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는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고 할당된 권한에 따라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엔터티입니다.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 또는 인간 관리자와 연결됩니다.
- 권한/허가: 권한 또는 허가는 데이터베이스 개체에 대한 특정 작업을 수행할 권리입니다(예: 테이블에 대한 SELECT, 테이블에 INSERT, 저장 프로시저 EXECUTE).
- 최소 권한 원칙: 이 기본 보안 원칙에 따르면 사용자 또는 프로세스는 의도한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권한만 부여해야 합니다.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이것이 우리의 모듈식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전략의 초석입니다.
웹 애플리케이션 모듈에 대해 전용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만드는 원칙은 액세스를 격리하는 것입니다. "사용자 관리" 모듈, "제품 카탈로그" 모듈 또는 "주문 처리" 모듈과 같은 각 모듈은 자체 특정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와 상호 작용해야 합니다. 이 역할은 해당 모듈의 작동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데이터베이스 개체(테이블, 뷰, 저장 프로시저)에 대한 권한만 갖게 됩니다.
인기 있는 웹 애플리케이션 선택 사항인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실제 예제를 통해 설명해 보겠습니다. 가상 웹 애플리케이션에는 세 가지 주요 모듈이 있습니다.
- 사용자 관리: 사용자 등록, 로그인, 프로필 업데이트를 처리합니다.
- 제품 카탈로그: 제품 정보, 재고를 관리합니다.
- 주문 처리: 고객 주문, 결제를 처리합니다.
그리고 users, products, orders와 같은 테이블이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1단계: 특정 데이터베이스 역할 생성
먼저 각 모듈에 대한 역할을 만듭니다. 이러한 역할은 자체적으로 로그인할 수 없으며, 순전히 권한 집계를 위한 것입니다.
CREATE ROLE user_management_role NOLOGIN; CREATE ROLE product_catalog_role NOLOGIN; CREATE ROLE order_processing_role NOLOGIN;
2단계: 역할에 권한 부여
다음으로 각 역할에 필요한 권한만 부여합니다.
user_management_role의 경우:
이 모듈은 users 테이블에 대해 SELECT, INSERT, UPDATE가 필요합니다.
GRANT SELECT, INSERT, UPDATE ON TABLE users TO user_management_role;
product_catalog_role의 경우:
이 모듈은 products에 대한 SELECT (표시용) 및 잠재적으로 INSERT, UPDATE, DELETE (모듈의 정확한 책임에 따라 관리 기능용)가 필요합니다. 여기서는 단순화를 위해 제품만 표시한다고 가정하지만 관리 인터페이스에는 더 많은 것이 필요할 것입니다.
GRANT SELECT ON TABLE products TO product_catalog_role;
order_processing_role의 경우:
이 모듈은 users에 대한 SELECT (고객 정보 가져오기), products에 대한 SELECT (주문에 대한 제품 세부 정보 가져오기), orders에 대한 INSERT 및 UPDATE (상태 변경용)가 필요합니다.
GRANT SELECT ON TABLE users TO order_processing_role; GRANT SELECT ON TABLE products TO order_processing_role; GRANT INSERT, UPDATE ON TABLE orders TO order_processing_role;
참고: 나중에 생성된 새 테이블의 경우 기본 권한을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ALTER DEFAULT PRIVILEGES FOR ROLE postgres IN SCHEMA public GRANT SELECT, INSERT, UPDATE ON TABLES TO user_management_role; -- 필요한 경우 다른 역할 및 권한 유형에 대해 반복합니다.
3단계: 애플리케이션별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생성
이제 각 모듈(또는 역할에 매핑되는 전체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로그인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를 만듭니다. 그런 다음 이러한 사용자에게 적절한 역할이 부여됩니다.
CREATE USER user_management_app WITH PASSWORD 'strong_password_1'; CREATE USER product_catalog_app WITH PASSWORD 'strong_password_2'; CREATE USER order_processing_app WITH PASSWORD 'strong_password_3';
4단계: 애플리케이션 사용자에 역할 부여
마지막으로 생성된 역할을 해당 애플리케이션 사용자에 부여합니다.
GRANT user_management_role TO user_management_app; GRANT product_catalog_role TO product_catalog_app; GRANT order_processing_role TO order_processing_app;
이제 사용자 관리 모듈이 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될 때 user_management_app 사용자를 사용합니다. 이 사용자는 user_management_role에 명시적으로 부여된 작업만 수행할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users 테이블에 대한 액세스가 제한되고 제품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과 같은 작업을 방지합니다.
코드에서의 적용
웹 애플리케이션 코드에서 데이터베이스 연결을 설정할 때 각 모듈은 전용 사용자 자격 증명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SQLAlchemy를 사용하는 Python Flask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 사용자 관리 모듈의 데이터베이스 연결용 # 구성 파일 또는 환경 변수에서 USER_MANAGEMENT_DB_URI = "postgresql://user_management_app:strong_password_1@localhost/your_database" engine_user_mgmnt = create_engine(USER_MANAGEMENT_DB_URI) # 제품 카탈로그 모듈의 데이터베이스 연결용 PRODUCT_CATALOG_DB_URI = "postgresql://product_catalog_app:strong_password_2@localhost/your_database" engine_product_cat = create_engine(PRODUCT_CATALOG_DB_URI)
각 모듈의 데이터베이스 상호 작용은 특정 engine을 활용합니다. 이렇게 하면 공유 애플리케이션 코드가 있더라도 데이터베이스 수준에서 분리가 시행됩니다.
이점 및 적용 시나리오
이러한 모듈식 접근 방식의 이점은 상당합니다.
- 강화된 보안: 제품 카탈로그의 SQL 주입 취약점과 같은 모듈이 손상될 경우 제품 관련 데이터만 노출되거나 영향을 받습니다. 사용자 관리 및 주문 처리 데이터는 보호됩니다. 이렇게 하면 공격 표면과 피해 범위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 개선된 유지 관리성: 모듈에 대한 새 기능 추가 또는 제거가 더 쉬워집니다. 다른 모듈의 액세스에 영향을 주지 않고 해당 특정 모듈 역할의 권한을 조정하기만 하면 됩니다.
- 단순화된 감사: 데이터베이스 로그는 어떤 특정 애플리케이션 사용자가(그리고 따라서 어떤 모듈이) 작업을 수행했는지 명확하게 표시하여 감사를 훨씬 더 명확하게 만듭니다.
- 개발 위험 감소: 특정 모듈에서 작업하는 개발자는 모듈에 관련된 데이터베이스 개체만 이해하면 되므로 다른 영역의 데이터 무결성을 실수로 손상시킬 가능성이 줄어듭니다.
- 명확한 책임: 문제가 발생하면 원인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 전략은 특히 다음을 위해 유용합니다.
- 대규모 웹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이 확장되고 다양한 팀이 참여함에 따라 세분화된 권한이 필수적이 됩니다.
- 다중 테넌트 시스템: 서로 다른 테넌트가 다양한 데이터 액세스 요구 사항을 가질 수 있지만, 모듈별 역할은 테넌트별 역할과 다르며 최소 권한 원칙이 여전히 적용됩니다.
- 민감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 금융, 의료 또는 개인 식별 정보는 엄격한 액세스 제어를 의무화합니다.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각 마이크로서비스는 자체 데이터베이스 역할 및 사용자로 매핑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서비스의 격리 원칙과 완벽하게 일치합니다.
결론
웹 애플리케이션의 각 모듈에 대해 전용 데이터베이스 역할 및 권한을 구현하는 것은 안전하고 유지 관리 가능하며 견고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관행입니다. 최소 권한 원칙을 준수하고 데이터베이스 액세스를 격리함으로써 조직은 보안 위험을 크게 완화하고 개발을 간소화하며 명확한 책임 소재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세분화된 제어는 단순한 모범 사례가 아니라 지속적인 애플리케이션 보안의 기본 요소입니다.

